• 카테고리
    • 전체 글

    • 카테고리1
    • 카테고리2
    • 카테고리3
    • 카테고리4
  • 태그
  • 방명록

'2010/01/14'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0.01.14 우분투 내의 위치 메뉴의 경로 바꾸기.
  • 2010.01.14 현재까지 구축한 내 Linux 개발 머신.
  • 2010.01.14 리눅스가 데스크톱 클라이언트가 되기엔 아직은 부족하다. 2

우분투 내의 위치 메뉴의 경로 바꾸기.

기술자료/OS 2010. 1. 14. 13:05
한글 형식으로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각 링크들이 한글로 된 폴더안에 되어 있다.
그 중, 상단 메뉴 중에 "위치" 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게 그 한글로 된 폴더를 연결하고 있다.

간혹 복구용 터미널로 접속할 때 굉장히 당혹 스러운 상황에 종종 빠지는데,
그 이유가 XFree 가 떠 있을때 받았던 파일 폴더가, 한글일 경우이다.
그러면 복구 Console에서는 해당 폴더를 접근 할 수 없었고,
결국 다른 위치로 강제적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곤 했다.

이에 Googling 들어가고!!!! 찾았다.

http://zodiac12k.egloos.com/1241298

실제로는 zodiac12k 님이 쓴 글 말고, 댓글로 걸려 있는 내용이 제일 중요!

단지, 화면이 잘 안보여 자꾸 틀렸는데, 이 경로 바꿀때 사용되는 conf 파일은 다음위치에 있다.

      ~/.config/user-dirs.dirs

수정한 뒤, 다시 로그인 하면 된다. ( Log-out ~ Login )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현재까지 구축한 내 Linux 개발 머신.

잡글 2010. 1. 14. 12:45
이러니 저러니 궁시렁 거려도, 일단 하기로 한 이상 끝까지 리눅스로 개발 PC 구축은 계속 한다.

현재까지 나름 안정된 형태를 간신히 갖춘 것 같다.

운영체제 : Ubuntu 8.04 LTS x86
설정추가 : 외부 H/W 드라이버 (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
설정변경 : Lan 고정 IP 설정.
               폰트 설정 변경. ( 고정형 글자를 일단은 Courier 10 Pixel .. 로 , 나머지는 은돋음, 그래픽으로 변경)
               테마를 깔끔한 형태로.
설치한 응용프로그램
               IBM Lotus Notes 8.5.1 한글판 ( 절대 8.5 이하 버전은 설치하면 안된다!)
               Synergy ( 내 세컨드 UMPC 와 연동용 )
               VMWare Workstation 6.5.3 for Linux ( 이러나 저러나 결국 Windows Platform 프로그램 개발은 계속..)
              

현재까지 구성한 내용은 이 정도이다.
처음에는 Font 설정이 안되서, 그 기묘한 글자들(예전에 광수체 같은?)들 버글 거려서 눈꼴시려웠는데,
지금은 그나마 명조체로는 나온다. (그러나 불만!!!!)
뭐 그래도 나름대로 어느정도 사용 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Eclipse 나 이런 부분에 대한 표준 패키지들을 받아서 하나씩 구성해야 봐야 겠다.

어느정도 개발 관련 안정화를 갖추어야 나중에 일하기 쉬울테니...

아아..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역시 리눅스 데스크톱 사용은 언제나 어렵다.
된장이야.. 정말...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리눅스가 데스크톱 클라이언트가 되기엔 아직은 부족하다.

잡글 2010. 1. 14. 08:57
지금 우분투를 사용을 한지 3일.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기 보다는 대부분 설치와 설정을 하는데, 대부분을 사용했다.
특히 잘못 구성하여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나, 잘못된 배포본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등의
오류 속에서 많이 헤매게 되었다.

예전에는 레드헷에서 나온 제품을 썼다면 요즘은 대세라고 하는 우분투를 쓰게 되었다.
우분투를 맨처음 받아서 쓴것이 9.1.
그러나 이 제품은 파일 시스템이 ext4로 바뀐것 부터 해서, IBM Notes 클라이언트 도 시원찮게 돌고,
게다가, VMWare 설치하기는 정말이지 힘들었다.
그리고 지금은 8.04 전체적으로 안정화는 되었지만, 현재 설치하여 사용중인 노트북인 Lenover T61의
그래픽 드라이버를 잡지 못해 대략 하루 정도 헤메고 있다. 결국 듀얼 모니터 배제한 상태로 진행해야 할듯.

현재 내가 겪는 일도 이런데, Windows 클라이언트만 사용해 왔던 사용자라면,
Linux 사용은, 고개를 절래 절래 흔들만한 것들 밖에 없다.
뭔가 표준화 되거나, 쉽게 지원되는 부분은 무척 적다.
결국 전문가 전용 시스템이 될 수 밖에 없는 현실.

그것 뿐만 아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OS의 핵인, 표준화된 플랫폼이다.
애플의 IPhone이 Windows Mobile을 밀어낼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표준화된 플랫폼이다. 그 플렛폼 위에서 여러 개발자들이 다양한 Application으로 화려하게 꾸며주고 있다.
이 리눅스는 바로 그 표준화 된 ... 무언가의 부재인 것이다.
배포판도 종류도 다양하고, 그 설정 방법도 배포본 별로 다 다르다.
다양성과 기능성을 인정하는 모습은 좋지만, 이제 첫발을 들이려고 했던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좌절이지 않을까? 그러니, 무언가 큰 규모의 소프트웨어나, 완전히 자기만족에 가까운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배포본과 딸려들어오는 응용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실정.

결국 돈벌이는 안될듯 싶은 모습이다.

만일 이 리눅스에 대한 국가적 단위의 표준화가 이루어 진다면.....
윈도우를 대처할 만한 상황이 오지 않을까..?


P.S. 어제 설명회도 그렇고, 예전 설명회들도 그렇고, 결국 Windows와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은 관공서 부터 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 쉽지 않은 길일 듯 싶긴 하다.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 «
  • 1
  • »
250x250

블로그 내에 소스 코드 삽입 이사온 기념 스킨도... RSS 전문 기능 비활성화 관련. 스킨 바꾸어 보았습니다. 서버 파일 정리 좀 했습니다.

«   2010/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e-book 오류 Tutorial 불만 블로그 me2sms 인터파크 매뉴얼 지름신 me2photo Azure 개발환경 친구 SharePoint twi2me windows WSS 2010 Buscuit 좀 MOSS 2007 java 비스킷 Visual Studio 협업 것 수 Google Apps Engine me2dayzm moss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