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 전체 글

    • 카테고리1
    • 카테고리2
    • 카테고리3
    • 카테고리4
  • 태그
  • 방명록

'기술자료'에 해당되는 글 351건

  • 2010.01.20 ClearQuest 7.1을 MS SQL Express에 설치하기.
  • 2010.01.20 우분투의 "위치" 메뉴의 항목 추가/삭제하기.
  • 2010.01.19 우분투에 램디스크를 설정해서 파이어폭스 캐시 공간으로!
  • 2010.01.14 우분투 내의 위치 메뉴의 경로 바꾸기.
  • 2010.01.12 VMWare Workstation 6.5.X를 우분투(UBUNTU) 9.1X 에 설치하기
  • 2010.01.12 내 Linux Console 화면.
  • 2010.01.11 NFS Port Forward 하는 방법
  • 2010.01.11 우분투 9.1X 에다 VMWare Workstation for Linux 설치하기.

ClearQuest 7.1을 MS SQL Express에 설치하기.

기술자료/개발도구 2010. 1. 20. 15:38
MS SQL을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해서 작업을 하려고 할때,
XP나 Windows 7 같은 클라이언트 기반의 운영체제에는 설치하기가 참 곤란하다.
(물론 각 SQL의 개발자 버전 으로 하면 플랫폼과는 관계없이 설치되기는 하다.)

그래서 간혹 MS SQL Express와 같은 무료 버전을 설치해서 각종 CQ 관련 테스트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MS SQL Express의 버전은 벌써 2008.
조만간 2010 나오니 아마도 2010이 될 것이다.
애석하게도 CQ는 그에 발 맞추어 움직이기는 아직 무리.
가급적 오래된 버전으로 설치해야 된다. 이를 위해서 구한게 SQL Express 2005.
이 SQL 2005 Express에 대한 설치 방법은 기존 SQL DB 설치하듯 설치하면 된다.
즉 그냥 Next 연발로 설치하면 된다.
다만, 인증 방법을 "Windows 통합 인증" 말고 "혼합 방식"으로 선택해서
SQL 인증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CQ에서는 Windows 통합인증은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SQL 인증 방식만이 CQ와 연결하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SQL Express 2005와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Express 정도는 설치하자.
DB를 만들고, 관리하는데, Console로 처리하기엔 Oracle의 오라클이 아닌 이상은
UI 도구에 의존해야 되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CQ는 당연히 설치되어 있어야 된다. 그럼 시작한다.

1. SQL 내 DB 만들기.

  • 제일 먼저, Windows 통합 인증을 쓰던, SQL 인증방식을 쓰던, DB Admin 급의 계정으로 일단 SQL Express에 접속한다. 뭐 이 접속이 바로 Management Studio를 의미한다는 사실은 당연한 것.
  • 그리고 개체 탐색기의 트리를 열어 보안 > 로그인 부분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컨텍스트 메뉴에서 새 로그인(N)... 을 선택.
  • 계정을 만든다. 여기서는 그냥 cqadmin 이라고 했다. 다음 부분이 중요한데, 반드시 SQL Server 인증을 선택하고, 암호를 넣어준다. 또한 "암호 정첵 강제 적용(F)"을 반드시 끈다. 이거 켜면, 대부분 SQL 서비스를 사용하는 제품들은 제대로 동작하는 걸 본적이 없다. (닷넷으로 만든 제품은 설정 조금 바꾸면 되기는 하지만, C/C++ 로 만든 제품은 저 기능에 대응하려면 SQL 접속 모듈을 다시 만들어야 됨 -_-;;;;; ) 아래 화면 처럼 되었다면 확인! 하여 저장.
  • cqadmin 계정 생성을 성공했다면, 이번엔 CQ의 스키마를 저장하기 위한 DB를 만들도록 한다. 만드는 방법은 개체 탐색기 트리에서 데이터베이스 위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컨텍스트 메뉴에서 새 데이터베이스(N)을 선택한다.
  • 새 데이터베이스의 속성들을 결정하는 부분에서 먼저 DB 이름을 넣어준다. ( 아직 확인은 누르지 마세요!!! )
  • 이제 왼쪽 트리 중 옵션에 들어간다. 핵심부분으로 꼭 이 부분을 확실하게 체크해야 한다. 반드시 데이터 정렬에서 "Korean_Wansung_CI_AS"를 선택하도록 한다. 물론 이 부분은 실제 CQ에서 언어코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만일 중국어라면, 코드가 936 인데, 이런 경우 "Chinese_PRC_CI_AS"를 선택하면 된다. 자세한 언어 코드별 정렬 방법에 대한 정보는 설치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정렬 설정 부분을 참고하도록 한다. 나머지 설정은 그대로 두고 "확인"을 클릭해 저장한다.
  • 자 이제는 새로 만들어진 DB에 대한 보안 설정을 해야 한다. 즉 앞서 만든 계정인 cqadmin을 이 DB와 연결해야 한다. 여기서는 단 한가지만 주의하면 되는데, cqadmin에게 db_owner에 대한 스키마 소유권을 안 주는게 핵심. 왜 그런지는 아직 파악을 못했지만, 최소한 CQ가 SQL 2005에 접속할 때, cqadmin이라는 계정이 db_owner의 소유권이 있는 경우 DB에 제대로 접속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부분을 반드시 체크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사설이 길어졌는데,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다시 화면이 떴을때, 왼쪽 개체 탐색기 트리에서 이번엔 새로 만든 DB 아래를 펼쳐서 보안의 사용자 단계까지 간다. 즉 데이터베이스 > cqschema > 보안 > 사용자 까지 내려 온다. 사용자 부분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컨텍스트 메뉴에서 새 사용자(N) 을 선택해 준다.
  • 자 신규 사용자 정보를 넣는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사용자 이름/로그인 이름/기본 스키마에 앞서 만든 계정인 cqadmin으로 다 때려 넣는다. 그리고 중요한거!!! 소유한 스키마는 절대 손대지 마시고! 대신 데이터베이스 역할 맴버 자격안에 db_owner를 선택한다. 나머지 옵션을 그냥 두고, 확인을 클릭하여 저장한다.
  • 예전에는 자동으로 만들어졌던 거 같은데, 이상하게 자동으로 잘 안만들어지는게 기본 스키마. 위에서 설정에서 새롭게 지정한 cqadmin 스키마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 개체 탐색기에서 아까 열었던 사용자 부분 아래 아래 보면 스키마가 있는데, 거기서 오른쪽 버튼 클릭!!!! 그리고 컨텍스트 메뉴에서 새 스키마(N)을 선택하면 된다.
  • 썰렁한 창안에 앵무새 떠들듯 계정을 그대로 넣어주면 된다. cqadmin, cqadmin.. 그리고 확인을 눌러 저장한다.
  • 자!!! DB 준비는 끝.. 이제 ClearQuest 유지보수 도구를 실행한다.

2. CQ 유지보수 관리자 설정하기 ( CQ - SQL 연결하기 )
  • 화면이 떴으면 Create를 클릭한다.
  • 자 그러면 스키마 연결을 위한 이름이 기본값으로 설정되고(스키마가 아무것도 없었다면 7.0.0) 스키마 저장소에 대한 설정 값을 입력하게 된다.  각 해당하는 값을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Feature Level : FEATURE_LEVEL_7 
      ( 만일 기존 7.0.1에서 백업한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LEVEL_6을 선택한다. )    
    - Physical Database Name : cqschema  
      ( 앞서 만든 DB 이름을 넣는다. )    
    - Database Server Name : CQTESTSVR\SQLEXPRESS
      ( 이 이름 모르겠다면 SQL Management Studio 접속 화면에서 확인하시면 된다.)    
    - Administrator Name : cqadmin
      ( 앞서 만든 계정 )    
    - Administartor Password : ***** 
      ( 계정에 해당하는 암호)   
    - Connect Option :               
      (그냥 비우면 됨!)
    다 입력했으면 다음(N)을 클릭한다.
  •  언어코드는 한국어 이니 949 그대로 두고 다음!
  •  자동으로 Sample Database를 만들겠냐는 질문인데, 그냥 체크를 끄자. 만들 필요 없다. 다 되었다면 마침을 클릭한다.
  • 그러면 자동적으로 DB 설정을 시작한다.그러면 Status 창에 무언가 주저리 주거리 많은 로그들이 남다가,
    완료되면 Done 버튼이 활성화 된다. 이제 Done만 누르면 완료된다.


모든 설정은 끝난 것이다. 여기에서는 분명, CQ와 SQL Express의 연결을 다루고 있지만, 사실 이 문제는 SQL 2005 이상의 제품과의 호환적인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다. 또한 이 글도 그 SQL 2005 이상과 CQ를 연결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Workaround를 기초로 적용해본 뒤 적은 글이다. 그래서 SQL Server 2005 이상의 제품과 CQ간의 연결이 잘 안되시는 분은 위의 내용을 참고로 수정해보시면 금방 적용할 수 있다.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우분투의 "위치" 메뉴의 항목 추가/삭제하기.

기술자료/OS 2010. 1. 20. 10:44
검색어가 마땅찮아서, Google 사마도 헤메는 사태 발생.
위치 라는 단어나, 북마크라는 단어나, 책갈피라는 단어라든가...
이 모든게 필터 되기에는 너무 먼 의미인지라,

정작 원하는 것은 우분투 메뉴의 "위치" 부분에서 항목을 추가하고 삭제하는 것이였다.
SAMBA 네트워크로 윈도우 공유 폴더를 책갈피화 했더니, 이 "위치"메뉴에 자동으로 추가는 되었는데,
애석하게도 들어간 값이 오류가 있었다.
이에, 이리저리 헤매다가, 직접 내 폴더들을 뒤적이다가 간신히 발견.

/home/계정ID/.gtk-bookmarks

저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최소한 최상단의 두가지인 "홈폴더"와 "바탕화면"은 그대로 인 것 같고, 그 아랫 부분을 편집할 수 있다.
경로를 써주고 그 뒤에 메뉴 상에 보일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

file:///home/otaku/Dcouments/ 내 문서들
file:///home/otaku/Pictures/ 내 그림들
smb://otaku@192.168.7.6/software/  NAS의 Software 폴더

경로의 맨 끝에 "/" 를 붙이고 한칸 띄고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안넣으면 폴더 이름이 대신 들어간다.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우분투에 램디스크를 설정해서 파이어폭스 캐시 공간으로!

기술자료/OS 2010. 1. 19. 14:34
우분투를 쓰면서 조금 답답한 부분이 시스템 설정 부분에 있었다.
Windows 쪽은 계속 사용하면서 그 안의 Tip 과 같은 사항들을 어느정도 알게 되었고,
다양한 Utility 및 변경 작업들이 수많은 블로그를 통해서 묻어 나오기 때문에
시스템 설정에 어렵지 않게 접근 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우분투에서는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수정작업을 할 수 있는지
전혀 알길이 없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링크를 따라 가다가 최소한 파이어폭스에 대해
캐쉬 부분을 램디스크로 사용하는 방법이 적힌 글을 찾았다.

http://wewoori.tistory.com/152

여기서의 핵은 mount 인데, mount의 Type을 tmpfs 로 잡는 것이다.

sudo mount -t tmpfs -o size=64M,nr_inodes=10k,mode=0777 tmpfs /media/ramdisk

즉 이 형태대로 구성하면 /media/ramdisk 에 램디스크로 잡힌 영역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 위치로 구성하면 된다.

이 설정을 재 부팅 후에도 쓸려면, /etc/fstab 안에 아래와 같은 줄을 추가한다.

tmpfs /media/ramdisk tmpfs size=64M,nr_inodes=10k,mode=777 0 0

마지막으로 파이어폭스에서 디스크캐쉬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주소 줄에 about:config 를 넣고, 들어간 화면에서,
"browser.cache.disk.parent_directory" 항목을 추가한다. 값 유형은 String(문자열)로 하고, 값을 아까 넣은 /media/ramdisk/ 로 잡으면 된다.

상당히 도움이 되는 글인 것 같다.

이제 진짜!!! Diskcache글을 찾아봐야 겠다.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우분투 내의 위치 메뉴의 경로 바꾸기.

기술자료/OS 2010. 1. 14. 13:05
한글 형식으로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각 링크들이 한글로 된 폴더안에 되어 있다.
그 중, 상단 메뉴 중에 "위치" 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게 그 한글로 된 폴더를 연결하고 있다.

간혹 복구용 터미널로 접속할 때 굉장히 당혹 스러운 상황에 종종 빠지는데,
그 이유가 XFree 가 떠 있을때 받았던 파일 폴더가, 한글일 경우이다.
그러면 복구 Console에서는 해당 폴더를 접근 할 수 없었고,
결국 다른 위치로 강제적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곤 했다.

이에 Googling 들어가고!!!! 찾았다.

http://zodiac12k.egloos.com/1241298

실제로는 zodiac12k 님이 쓴 글 말고, 댓글로 걸려 있는 내용이 제일 중요!

단지, 화면이 잘 안보여 자꾸 틀렸는데, 이 경로 바꿀때 사용되는 conf 파일은 다음위치에 있다.

      ~/.config/user-dirs.dirs

수정한 뒤, 다시 로그인 하면 된다. ( Log-out ~ Login )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VMWare Workstation 6.5.X를 우분투(UBUNTU) 9.1X 에 설치하기

기술자료/OS 2010. 1. 12. 12:39
원본 글 위치 : http://linux.aldeby.org/vmware-workstation-6-5-3-on-ubuntu-karmic-9-10.html

VMWare workstation 6.5.3은 최소한 Ubuntu 9.0.4 이하 버전에 대해서는 제대로 지원된다. 하지만, Ubuntu Karmic 9.1에 대한 설치 방법은 쉽게 찾아 보기가 힘들었다. 아마도 대부분은 9.1 Ubuntu에서 VMWare 6.5.3을 설치할 떄 "Configuring...." 에서 멈춰 있는 현상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터미널을 통해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뜨게 되는 설치 관리자 뒤에서 경고 메시지를 무한을 뿜다가 멈추는 것이 대략적으로 파악되는 원인으로 본다. 상세한 설명은 BitOBear 라는 분이 왜 이런 멈춤 현상이 발생하는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먼저 다운 받은 Linux용 VMWare인 bundle 파일을 실행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알림 : 여기서는 32bit 제품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만일 x64 제품이라면 아래의 줄의 i386 부분을 x86_64로 변경해주면 될 것 같다.)

chmod u+x VMWare-Workstation-6.5.3-185404.i386.bundle


그리고 난 뒤, 터미널을 하나 더 띄워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while true; do sudo killall -9 vmware-modconfig-console; sleep 1; done;


그러면 터미널에서 무한대로 무언가 계속 진행된다.

자 이제 원래 터미널로 돌아와서,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맨 끝에 --ignore-errors 를 붙이는 것에 주목하자. 그리고 "-"는 두개이다.

sudo ./VMWare-Workstation-6.5.3-185404.i386.bundle --ignore-errors


설치를 그대로 진행하자. 그러면 이전과는 다르게 계속 설치가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설치 중에 vmware-modconfig-console 이 실행되지 않고 넘어가기 때문이다. 일단 설치가 완료되면 아까 띄웠던 무한 루프 도는 창(while true...) 을 종료한다. Ctrl + C를 누르면 간단하게 종료!

자 다시 원래 창으로 돌아와서 이번에는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각 옵션 부분의 "-"는 두개이다. 단, install-all 안에 있는 "-"는 한개!)

vmware-modconfig --console --install-all


위의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성공했다면, 일단 기본적인 VMWare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슈가 있다. 640 * 480(vga 해상도)에서 영역 밖에서 자동으로 마우스가 풀리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아래의 파일을 편집해 주어야 한다.

/etc/vmware/bootstrap


이 파일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므로, sudo vi 나 sudo gedit 같은 권한 상승 명령어 껴서 편집하도록 한다.

일단 이 파일을 열었다면, 아래의 줄을 추가하도록 하자.

VMWARE_USE_SHIPPED_GTK=force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내 Linux Console 화면.

기술자료/OS 2010. 1. 12. 12:00
현재 UBUNTU 사용 2일차.
역시 Linux 사용의 백미는 Terminal 사용이라고 본다.
그래서 알게 모르게 터미널을 많이 띄우고 사용하게 되는데, 기본 값으로 제공하는 터미날은
뭔가 참 밋밋한데다, 글자도 알아보기 무척 힘들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변경해보았다.

일반탭 : 글꼴 : Courier 10 Pitch / 12

색 : 글자색 / 44 - 240 - 44 (빨/초/파)
      배경 / 0 - 0 - 0 (빨/초/파)

이렇게 설정했더니 의외 괜찮은 모습인듯...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NFS Port Forward 하는 방법

기술자료/OS 2010. 1. 11. 23:12
NFS를 외부로 노출 시키려면(아마도 안하는게 제일이긴 하지만...)
3가지의 포트를 노출시킨다.

nfsd
mountd
portmapper

이 세가지 서비스가 사용하는 Port를 TCP와 UDP 각각 Open을 한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의 URL의 내용을 참고.

http://mindwing.kr/archive/200904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우분투 9.1X 에다 VMWare Workstation for Linux 설치하기.

기술자료/OS 2010. 1. 11. 20:29

그냥은 설치 못한다.

그래서 편법!

http://linux.aldeby.org/vmware-workstation-6-5-3-on-ubuntu-karmic-9-10.html/comment-page-1

간신히 설치했다.

( Link 저장용 )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 «
  • 1
  •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
  • 44
  • »
250x250

블로그 내에 소스 코드 삽입 이사온 기념 스킨도... RSS 전문 기능 비활성화 관련. 스킨 바꾸어 보았습니다. 서버 파일 정리 좀 했습니다.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개발환경 me2photo moss e-book 2010 Buscuit Google Apps Engine java WSS me2dayzm Visual Studio 불만 친구 것 Azure MOSS 2007 좀 오류 인터파크 수 협업 me2sms Tutorial 블로그 매뉴얼 지름신 windows twi2me 비스킷 SharePoint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