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 전체 글

    • 카테고리1
    • 카테고리2
    • 카테고리3
    • 카테고리4
  • 태그
  • 방명록

'2008/07'에 해당되는 글 20건

  • 2008.07.03 협업 좀 하자 - WSS 3.0 - 기본 구성.
  • 2008.07.02 48년전 이야기인지... 현재이야기 인지...
  • 2008.07.02 사내 KB 채우느라 정신이 없네요.
  • 2008.07.01 협업 좀 하자 - WSS 3.0 - 기본 설치 [2]

협업 좀 하자 - WSS 3.0 - 기본 구성.

기술자료/.NET 2008. 7. 3. 00:37

SharePoint 3.0 중앙관리라는 도구 - 혹은 사이트 -는 WSS를 운영하는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관리 도구 이다. 물론 많이 복잡하게 되어 있어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두려움과 부담감을 한꺼번에 건내주고도 남을 그런 곳이다.

일단, 여기서는 상세한 중앙관리에 대한 설정 내용을 설명하기 보다,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드는데 주력을 둔다. 중앙관리에 대한 자세한 기능 설명은 후에 관리에 대한 설명이 있을때 하도록 한다.

이 포스팅 내용에서는 캡쳐 화면이 좀 적다. 그 이유가 워낙 내용이 웹 페이지로 되어 있어, 양도 많고, 크기도 큰 편이다. 그래서 표와 글을 이용해서 최대한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그림으로 하나씩 비교하면서 설치하는게 왠지 바로 비교하고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이 없으면 왠지 안습이다. 그래서 이미지는 별도 링크로 제공하려 한다.

1. WSS 기본 서비스 올리기.

맨처음 설치되면 기본적으로 올라가야 되는 설정이나 사이트가 전혀 구성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 중 몇가지 기본적인 설정 작업을 해야 한다.

1.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검색 켜기.

WSS 검색은 안켜도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지만, 몇가지 통계나 간단한 검색기능이 비활성화 된다. 후에 본격적으로 운영하다 보면, 이전 정보가 필요한 경우 아차 싶을 때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가급적 미리 켜두고 천천히 하나씩 늘려나가도록 한다.

중앙관리 사이트에 들어온다. ( 예제에서는 http://wsstestsvr:3000 URL을 IE 주소창에 입력하여 들어간다. ). 아이디와 암호를 물어보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들어 오면 된다.

  1. 상단에 위치한 탭 부분에서 작업 탭을 선택한다.
  2. 작업 화면에서 토플로지 및 서비스 묶음 중에 서버 제공 서비스 링크로 들어온다.
  3. 목록 중 Windows SharePoint Services 검색 이라는 항목이 보이는데, 해당 항목의 오른편에 있는 시작 링크를 클릭한다.
  4. 입력하는 내용이 많은데, 각 내용을 아래 표를 참고하여 넣는다.
    항  목 내  용
    서비스 계정 (사용자 이름) 검색 서비스가 동작할 계정을 의미한다. 컴퓨터 이름\Administrator를 넣어준다. 예를 들면  WSSTESTSVR\Administrator가 된다.
    서비스 계정 (암호) 해당 계정의 암호를 넣는다.
    콘텐츠 액세스 계정 (사용자 이름) 검색 권한을 상세히 하는 경우에는 해당 계정을 넣지만, 맘편하게 위의 서비스 계정과 동일하게 넣는다.
    콘텐츠 액세스 계정 (암호) 해당 계정의 암호를 넣는다.
    검색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대로 둔다.
    검색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이름) 그대로 둔다.
    검색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인증) 그대로 둔다.
    인덱싱 일정 검색 작업을 언제 돌릴 것인지 결정하는 부분이다. 검색 결과 내용이 항상 최신이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둔다. 아니면, 매일로 선택한 뒤, 사용자들이 사용안하는 시간(새벽 2:00~3:00) 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5. 입력이 완료(예제 화면 링크)되었으면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1.2. 사용 현황 분석 프로세스 켜기.

이 역시 안켜도 상관 없기는 하지만, 가급적 켜 두는 것이 나중에 관리적인 측면에서 중요할 것이다.

  1. 중앙관리 사이트에 들어온다. ( 예제에서는 http://wsstestsvr:3000 URL을 IE 주소창에 입력하여 들어간다. ). 아이디와 암호를 물어보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들어 오면 된다.
  2. 상단에 위치한 탭 부분에서 작업 탭을 선택한다.
  3. 작업 화면에서 기록 및 보고 묶음 중에 사용 현황 분석 프로세스 링크로 들어온다.
  4. 로깅 설정 묶음의 로깅 사용을 체크한다. 체크를 하면 로그 파일 위치를 넣는 항목이 활성화 되는데, 그 위치에 적절한 위치를 넣는다. 가급적 앞서 만든 ServerData 라는 폴더로 맞춘다. 여기 예제에서는 D:\ServerData\WSSData\Logs 라는 폴더로 설정했다.  ( 폴더가 없더라도, WSS에서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 로그 파일 갯수는 그대로 둔다.
  5. 프로세스 설정 묶에서 사용 현황 분석 프로세스 사용을 체크해주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한다. 이 작업이 서버의 자원을 많이 소모 하므로,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택해 준다. ( 예제에서는 새벽 3:00 ~ 4:00 로 설정했다. )
  6. 설정이 완료되었으면(예제 화면은 여기 클릭) 확인을 클릭한다.

2. WSS용 사이트 구축하기.

2.1 웹 응용 프로그램 만들기.

보통 우리가 컴퓨터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운영체제를 설치한다. 운영체제 위에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그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여기서 WSS 사이트가 프로그램, 웹 응용 프로그램이 바로 저 운영체제를 가르키게 된다. 즉 각종 WSS 사이트를 구축하려면, 그 밑바탕으로 깔려야 되는 웹 응용 프로그램을 먼저 구성해야 되는 것이다.

웹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중앙관리 사이트에 들어온다. ( 예제에서는 http://wsstestsvr:3000 URL을 IE 주소창에 입력하여 들어간다. ). 아이디와 암호를 물어보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들어 오면 된다.
  2. 상단에 위치한 탭 부분에서 응용 프로그램 관리 탭을 선택한다.
  3. SharePoint 웹 응용 프로그램 관리 묶음에서 웹 응용 프로그램 만들기 또는 확장을 클릭한다.
  4. 웹 응용 프로그램 만들기 또는 확장 페이지가 뜨면 새 응용 프로그램 만들기 링크를 클릭한다.
  5. 새 웹 응용 프로그램 만들기 페이지가 뜨면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내용을 채운다.
    항  목 내  용
    IIS 웹사이트 ( 선택항목 ) 새 IIS 웹 사이트 만들기를 선택한 상태로 그대로 둔다.
    IIS 웹사이트 (포트) 특별히 포트 번호를 변경할 의도가 없으면 그대로 둔다. 그렇지 않으면 http://서버이름:포트번호 이런식으로 접속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라도 80으로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IIS 웹사이트 (호스트 헤더) http://서버이름 으로 된 URL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하고 싶은 경우에 넣는다. 이 때 웹에서 사용하는 도메인(www.naver.com 같은 스타일의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면 설정하는데, 돈도 들고, DNS 서버가 필요하거나, 그에 따른 설정도 필요하다. 내부에서 사용한다고 하면 빈 상태로 그대로 둔다.
    IIS 웹사이트 (경로) 설정 파일들을 저장하는 위치인데, 그대로 둔다.
    보안 구성 (인증 공급자) Kerberos와 같은 보안에 우수한 체계를 구축할 생각이 아닌경우에는 가급적 그대로 둔다.
    보안 구성 (익명 허용) 팀 구성원의 협업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익명을 허용하면 안된다. 그대로 둔다.
    보안 구성 (SSL 사용) 보안 패킷을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http가 아닌 https를 사용하는 것인데, 사이트 인증서가 없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그대로 둔다.
    부하 분산된 URL (URL) 여러대의 웹서버 처리를 위한 부분인데, 사실 그다지 의미는 없다. 그대로 둔다.
    부하 분산된 URL (영역) 부하 분산을 위한 영역 처리인데, 그다지 의미는 없다. 그대로 둔다.
    응용 프로그램 풀 (선택 항목) 기존에 만들어 놓은 응용 프로그램 풀을 사용하는 것인데, WSS의 구성 정보가 다양하기 때문에, 별도로 따로 빼는 것이 좋다. 아래의 새 응용 프로그램 풀 만들기를 선택하도록 한다.
    응용 프로그램 풀 (새... - 보안계정) 보안을 위해서는 미리 정의됨을 선택한 뒤, 네트워크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으나, 기능상의 제약이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특히나 데이터베이스 접속할 때.)
    그러므로, 보안 계정 구성을 선택한 후, 사용자 이름에 서버이름\Administrator 와 해당 계정의 암호를 넣는다.
    IIS 다시 설정 (선택항목) 웹 응용 프로그램 구성 후 IIS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 웹 응용 프로그램 새롭게 구성했으면 IIS를 다시 시작해야 하는데, 만일 이미 동작 중인 웹 응용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한다. 아닌 경우에는 자동으로 IIS 다시 시작을 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대로 둔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이름) 나중에 알아보기 쉽게 고친다.
    기본값은 WSS_Content 인데, 뒤에 별도 식별자를 넣는다. 여기 예제로는 WSS_Content_80 으로 변경했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인증) 그대로 둔다. 위의 웹 응용 프로그램 풀 설정에서 설정한 보안 계정으로 접속한다는 의미이다.
    검색 서버 성능적 이슈로 가급적 선택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둔다.
  6. 모든 설정이 되었으면(예제 화면 링크)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7. 정상적으로 만들어졌으면 응용 프로그램이 만들어짐이라는 페이지가 뜰 것이다.
2.2.  협업 사이트 만들기.

실제 사용할 사이트를 만드는 단계이다. 이 부분을 보면, 다양한 형태의 사이트들을 만들고 구축할 수 있는데, 그 중 대표 사이트를 만드는 작업이다. 추후 다양한 기능들을 소개하면서 협업용 사이트 외의 다른 사이트 들도 만들 것이다. 여기서는 협업 대표 사이트를 만드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다.

협업 대표 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중앙관리 사이트에 들어온다. ( 예제에서는 http://wsstestsvr:3000 URL을 IE 주소창에 입력하여 들어간다.). 아이디와 암호를 물어보면 Administrator 계정으로 들어 오면 된다.
  2. 상단에 위치한 탭 부분에서 응용 프로그램 관리 탭을 선택한다.
  3. SharePoint 사이트 관리 묶음에서 사이트 모음 만들기를 클릭한다.
  4. 입력하는 내용이 많은데, 각 내용을 아래 표를 참고하여 넣는다.
    항목 내용
    웹 응용 프로그램 앞서 만든 웹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예제를 기준으로 http://wsstestsvr 이다. )
    제목 및 설명 - 제목 사이트의 이름을 넣는다. (예제로는 개발1팀이라고 하겠다.)
    제목 및 설명 - 설명 이 사이트를 설명할 문구를 넣는다.
    웹 사이트 주소 그대로 둔다.
    서식 파일 선택 여기서 만들 사이트의 속성을 결정한다. 실험의 의도가 아니면 팀 사이트를 만든다.
    주 사이트 모음 관리자 이 사이트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계정 입력한다. 다른 계정과 같이 컴퓨터이름\계정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예제를 기준으로 WSSTESTSVR\Administrator 를 넣는다. )
    최소한 최고 관리자가 있어야 한다. 사이트가 망가지더라도 복구하려면 최상위 슈퍼 관리자는 있어야 한다.
    보조 사이트 모음 관리자 보조 관리자의 계정을 입력한다. 비워두어도 무방하다. 나중에 추가/변경 할 수 있다.
    할당량 지정 서식 파일 해당 사이트의 용량 제한을 걸 때 사용한다. 여기서는 무제한 이므로 그대로 둔다.
  5. 입력이 완료(예제 화면 링크)되었으면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만들기가 정상적으로 끝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며 생성 내용에 대한 요약이 나온다.
그 중에 생성된 사이트의 URL을 표시해 주는데, 그 URL로 접속하면 된다.

SNAG-0002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48년전 이야기인지... 현재이야기 인지...

잡글 2008. 7. 2. 21:06
지금 봤는데, 헷갈리는군요.
조금 내용과 형태와 시간만 다를 뿐 똑같네요.
원문 URL :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1&uid=132501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사내 KB 채우느라 정신이 없네요.

잡글 2008. 7. 2. 12:56

지금 사내용으로 구축된 KB를 채우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블로깅이야 언제나 제 블로그에서 해왔는데, 이제 사내에도 KB를 위한 블로그를 개설하다 보니, 혼잡한 느낌입니다. 게다가, 지금까지, TextCube 스타일로 올리고 있어 그 스타일에 익숙해져 갔었는데, 갑자기 SharePoint 계열로 넘어가니 이만 저만 디자인이나 제약사항이 보기 싫더군요.

뭐 그래도 그림이 첨부로 올라가고(사실 지금 블로깅 하는 여기는 제한 용량이 있어 - 200MB - 그림은 업로드 하지 않습니다.) 오픈소스 가져다 온것에 대한 단점도 파악하고 있어서 나름대로는 의의가 있다고 봅니다.

일단, 사내 KB가 구축될때까지는 시간이 그다지 잘 안날 것 같네요.
포스팅 자료는 가급적 주말에 써야 될지도 모르겠네요.

"협업 좀 하자 " 시리즈는 주말에 쓴 뒤, 정리해서 말씀드린 날짜에 꼬박 꼬박 올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협업 좀 하자 - WSS 3.0 - 기본 설치 [2]

기술자료/.NET 2008. 7. 1. 11:43

여기서부터는 기본적인 Windows 관련 구성이 된 시점에서 시작됩니다. 여기서 해야 될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하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Storage 인 Database이고 다른 하나는 WSS입니다. 거의 마법사의 “다음>” 을 누르기만 하면 되기는 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꼭 확인하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 데이터 저장 위치 확보

Windows를 기본적으로 설치하셨다면 C:\ 위치에 설치될 것입니다. ( 물론 상황에 따라, 자동 혹은 의도적으로 D:\ 나 E:\에 설치 될 수 있습니다. ). 보통 데스크톱 프로그램들을 보시면 Windows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있는 Program Files 폴더 위치에 설치되고, 각종 문서나 개인 설정 내용도 Windows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있는 Documents and Settings 안에 저장됩니다.
그러나, 운영적인 측면으로 볼 때 그다지 권해드리지 않은 방법입니다. 일단, Windows가 문제가 생겨 Windows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모든 데이터들도 Windows에 담겨 있어, 자칫 데이터 유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영체제가 담긴 드라이브 내에 파일이 너무 많으면 Windows 자체가 뜰 때 중요 Windows 파일들을 접근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부팅 시간, 프로그램 동작 시간 등등 )

그래서 권장하는 것은 Windows가 설치된 위치와 실제 Database가 저장될 위치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아마도 “다음 >” 신공으로 모두 기본값을 설치된 상황이면 변경 작업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미리 설치할 때 미리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권장사항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하나의 드라이브로 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인 HDD에 파티션만 나누어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부터 설명드릴 내용은 C:\ 가 Windows 및 프로그램들이 설치되고, D:\ 에 데이터베이스 데이터가 저장되게 끔 할 예정입니다. 또한 데이터 저장 드라이브 안에 ServerData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아래에 WSSData라는 폴더를 생성할 예정입니다. 각 이렇게 구성한 폴더 내용을 트리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위의 그림 중 필수적으로 만들어줘야 하는 것은 D:\ServerData와 D:\ServerData\WSSData 정도 입니다.

2. 데이터베이스 설치

WSS를 설치할 때, 무심히 다음(N) 연발을 하면, 독립 실행형이라는 형태로 설치됩니다. 그러면 WSS와 함께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됩니다. 하지만, 이 데이터베이스는 오로지 WSS용으로 설치되는데다, 추가적인 제어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설치도 정해진 기본값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저장 위치 등이 제어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갖추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관리적인 부분과 성능 상의 이점을 위해 별도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합니다.

2.1 MS SQL Server 2005 설치.

데이터베이스 설치 작업입니다. 여기서는 MS SQL SErver 2005 Express 버전을 이용해 설치 할 것입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인해 계속 버전이 바뀌겠지만, 일단 현재(2008년 7월 1일) 받은 기준으로는 파일명이 SQLEXPR_KOR.EXE 라는 파일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전에 먼저 현재 팀 사이트 운영 중에 파일 업로드 등이 많아 큰 용량이 필요할지 없을지 판단을 해야 합니다. 앞서도 언급 드렸지만, 애석하게도 Express 버전으로 만들 수 있는 최대 용량 크기는 4G 입니다. 단순 텍스트 나 설정 값 정도 저장하는데 대략 2~300MB 정도의 용량 사용이 예상되지만, 혹시 각종 바이너리 파일(워드, 엑셀, 파워 포인트 파일 등등)에 대한 버전 관리나 대규모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면 턱없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 문제가 없으시다면, 가급적 상용 SQL 2005 Standard 이상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1.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저장될 위치를 확보합니다. 여기서는 D:\ServerData 같은 폴더를 구성합니다. 
  2. SQL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행 되면 자동적으로 압축을 풀면서 압축해제 완료 후 바로 설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됩니다.
  3. 맨 처음,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에서 동의함(A)에 체크하시고  . 다음(N)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4. 필수 구성 요소를 설치하는 중 화면에서 설치(I)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N)을 클릭합니다.
  5. 필수 구성 요소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설치 마법사가 뜹니다. 여기서 다음(N)을 클릭한다.
  6. 시스템 구성 검사가 시작되면 자동으로 검사를 하게 됩니다. 상태가 성공이 되면 뜨고 다음(N)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만일 실패하게 되면 더 이상 진행이 불가능합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종료하시고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경고 정도면 설치는 계속 할 수 있지만, 그대로 혹시 모르니 꼭 해당 문제점 체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7. 사용자 등록 정보에 적당히 넣고, 그 아래에 위치한 고급 구성 옵션 숨기기(T) 부분의 체크를 끄시기 바랍니다.  고급 구성 옵션을 몇 가지 구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8. 기능 선택 화면에서는 제품의 구성요소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SQL Server 2005 Standard 이상 버전을 설치하신다면, 워크스테이션 및 클라이언트 구성요소도 같이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 
    단, 제품 선택 트리에서 Database Services –> 데이터 파일을 선택하시고,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앞서 만든 데이터 폴더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예제대로 D:\ServerData 로 넣습니다. )
  9. 기타 기능들은 그대로 두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난 뒤, 다음(N)을 클릭합니다.
  10. 인스턴스 이름 결정 창에서 기본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11. 서비스 계정 창에서 기본 제공 시스템 계정 사용 부분에 로컬 서비스로 선택하시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12. 인증 모드 설정 창에서는 Windows 인증모드(W)를 그대로 두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만일 외부에서 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통신을 해야 한다면, 혼합 모드을 선택하시고 적절한 암호를 넣으신 뒤 다음(N)을 클릭합니다.
  13. 데이터 정렬 설정 창도 기본값을 그대로 두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14. 사용자 인스턴스 화면에서도 기본값을 그대로 두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15. 오류 맟 사용 보고서 설정 화면에서도 기본값을 그대로 두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16. 설치전 요약 내용이 나오면 간략히 확인하고 설치(I)를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N)을 클릭하고, 완료 창이 뜨면 마침(F)을 클릭합니다.
2.2 SQL Server 2005 Management Studio 설치.

이 도구는 반드시 설치해야 되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나 모를 위기 사태나 개인적으로 구성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거나 뺄 때 필요한 도구입니다.(만일 SQL Server 2005 Standard 이상인 경우 서버 설치할 때 같이 선택해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만일 MS SQL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다룰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시면 설치않으셔도 무방합니다. 게다가 이 도구는 나중에 별도로 추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억지로 설치하려 시도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SQL Server 2005 Management Studio Express 프로그램용 설치 msi를 실행합니다.
  2. 설치 초기 화면에서 다음(N)을 클릭합니다.
  3. 사용권 계약에서 동의함(A)을 선택한 뒤 다음(N)을 클릭합니다.
  4. 등록 정보에서 이름과 회사 이름을 넣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5. 기능 선택에서 기본값을 그대로 두고 다음(N)을 클릭합니다.
  6. 준비 완료 화면에서 다음(N)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이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한번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봅니다.
만일, 원격(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된 서버 외의 다른 컴퓨터에서 이 Management Studio를 실행되는 경우)에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한다면,  위의 설치 방법 중 2.1의 12번에서 Windows  인증모드(W)가 아닌 혼합모드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설정을 변경해서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SQL Server 2005 Express 관련 사이트에 문의하거나 기타 전문가들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3. WSS 3.0 설치

드디어 WSS를 설치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앞에서 한 작업이 바로 이 WSS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WSS는 기본적으로 두 번의 단계를 거쳐 설치됩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WSS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파일들을 HDD 상에 복사하는 단계 입니다. 이 때는 가장 중요한 몇 가지 사항만 체크하고 그 외는 파일 복사만 주로 수행합니다. 두 번째 단계에서 하는 작업은 WSS 시스템 구성 입니다. HDD에 설치된 WSS 파일을 가지고 실질적인 구성을 하는 작업입니다. 설정 작업과 동시 각종 DB 정보들도 이 때 구성하게 됩니다.

지금부터 그 두 단계를 나누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3.1. 첫번째 단계 - WSS 기본 파일 설치.
  1. 앞서 준비한 SharePoint.EXE ( WSS 설치 파일) 를 실행합니다.
  2. 자동으로 압축 해제를 하게 되고, 완료되면 초기 설치 화면이 뜹니다. 만일 여기서 오류가 발생했다면, 보통 IIS나 ASP.NET 또는 .NET Framework가 설치되지 않아 발생되곤 합니다. 문제가 발생했다면, 설치를 중단하시고, 해당 문제점 해결을 하시기 바랍니다. 앞의 포스트 내용을 체크하시고 문제점 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3. 정상적으로 설치 진행이 되었다면, Microsoft 소프트웨어 사용권 조항 보기가 뜨면 동의함을 체크하시고 계속(C)를 클릭합니다.
  4. 설치 유형 선택화면이 뜨면, 고급(A)를 선택합니다. 만일 기본(B)을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기본적인 설정 대로 설치되므로 반드시 여기서는 고급(A)으로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5. 상세 설정 화면이 떴다면, 서버 유형 탭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웹 프런트 앤드(W) - .... 를 선택합니다.
  6. 이번에는 데이터 위치 탭을 클릭해서 앞서 만든 D:\ServerData\WSSData 위치로 맞추어 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다른 위치로 만들었다면 다르게 만든 위치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7. 기타 사용자 의견(E)탭도 있지만, 이 부분은 알아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뭐 MS의 입장에서는 익명으로 참가해주길 간절히 바라겠지만, 이건 사용자 마음이기 때문에 알아서 결정해주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지금 설치(I)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시킵니다.
  8. 자동적으로 설치가 진행된다면, 여러가지 WSS 관련 파일들을 설치하게 됩니다. 설치가 완료가 되면, 최종 설치 완료 화면이 뜨는데, 지금 SharePoint 제품 및 기술 구성 마법사 실행이 체크 된 상태로 닫기(C)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만일 위의 단계 중 중간에 설치 오류가 발생했다면, HDD 용량 체크나 기존 업데이트 내용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된 내용도 하나씩 비교하면서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찾아도 방법이 없다면, 그 상황을 정리해서 여기에 덧글로 남겨주시거나, 한국 MS의 제품 지원 요청이나, 기타 WSS, MOSS 관련 까페에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 국내에서는 그렇게 많은 곳에서 이 제품을 다루지 않기 때문에, 찾기는 어렵지만 동병상린의 아픔을 모두 겪고 있기 때문에 답변 듣기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

3.2. 두번째 단계 - WSS 기본 구성

첫 번째 단계를 통해, WSS 관련 파일들이 복사 되었다면, 이제 WSS를 위한 실제적인 설정 작업입니다. 이 설정하는 작업도 모두 마법사를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각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위의 단계(3.1) 에서 닫기(C)를 하면 설치 마법사가 종료되고, SharePoint 제품 및 기술 구성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혹시 호기심 어린 행동으로 지금 SharePoint 제품 및 기술 구성 마법사 실행 체크를 끈 상태 로 닫기(C)를 눌렀다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럴 때는 , 시작 ->   제어판 -> 관리도구 -> SharePoint 제품 및 기술 구성 마법사로 따라 실행하시면 됩니다. 
    일단 초기 화면이 뜨면 다음(N)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 IIS, SharePoint Administrator Service, SharePoint Timer Service가 재 시작된다는 경고 창이 뜨는데, 그대로 예(Y)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3. 서버 팜에 연결 이라는 창이 뜨면 아니오, 새 서버 팜을 만듭니다(R)을 선택하시고 다음(N) 버튼을 클릭합니다.
  4. 구성 데이터베이스 설정 지정화면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S) 항목에 현재 서버 이름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여기 예제는 WSSTestSvr 이므로 예제 화면에 그렇게 넣은 상태입니다.). 하단의 사용자 이름 및 암호에는 현재 Administrator의 계정을 넣도록 합니다. 넣을 때 컴퓨터이름\Administrator 라고 넣고 암호 부분에 해당 계정의 암호를 채운 뒤  다음(N) 버튼을 클릭합니다.
    (참고로 사용자 이름 및 암호가 틀린 경우 또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권한이 부족 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어, 설치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데이터베이스 설치할 때 사용한 최고 권한 계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여기서는 최고 권한 계정이 바로  Administrator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Administrator 계정을 넣었습니다. )
  5. 다음 화면으로 SharePoint 중앙 관리 웹 응용 프로그램 구성이 뜰 것입니다. 보시면 포트 번호 지정(S)이 체크 되어 있지 않아 자동으로 값이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가급적이면 포트 번호 지정(S)화면에서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 이후 WSS 관련 설정들을 처리할 때 중앙관리 사이트를 들어가게 되는데, 이 포트 번호가 정해지면 편하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난수 값으로 만들어지는 34552 같은 숫자는 외우기 힘들지 않을까요?). 저 같은 경우에는 편하게 3000으로 결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다음(N)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앞서 설정한 설정에 대한 요약 화면이 뜨는데, 각 내용 확인이 되었다면 다음(N)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고급설정(A)에 들어가는 것은 상관 없지만, 별 필요는 없을 겁니다. Active Directory로 계정 관리가 되고 있고, 기존에 구축되어 있다면 사용하셔도 무방하지만, 어느 정도 인프라에 대한 지식이 필요로 합니다. 여기서는 이 부분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7. 이제 자동으로 WSS 구성 설정이 동작하게 됩니다. 구성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각종 설정 파일들이 구성됩니다. 설치에 대한 간략한 단계 정보가 보일 겁니다.  구성 작업 9 단계 중 ? 단계를 수행 중입니다. 라고 표시되는데, 대략적인 현재 단계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구성완료 화면이 뜨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마침(F)를 클릭하면 WSS 설치는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실제 운영을 위한 상세 설정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드디어 WSS의 설치는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까지는 한 단계가 더 남았습니다. 실제로 사용자가 사용할 사이트를 설정하고, 사용자 등록도 해야 합니다. 대부분은 자동적으로 만들어주기는 하지만, 조금은 손을 대주어야 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런 사이트 설정을 하는 방법을 하나씩 소개 드리겠습니다.

728x90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 «
  • 1
  • 2
  • 3
  • »
250x250

블로그 내에 소스 코드 삽입 이사온 기념 스킨도... RSS 전문 기능 비활성화 관련. 스킨 바꾸어 보았습니다. 서버 파일 정리 좀 했습니다.

«   2008/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수 me2dayzm windows 매뉴얼 Azure java 오류 Google Apps Engine MOSS 2007 moss twi2me 인터파크 Tutorial 블로그 2010 Visual Studio 불만 e-book 협업 지름신 WSS me2sms 좀 SharePoint me2photo 비스킷 것 친구 Buscuit 개발환경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