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은 설치 못한다.
그래서 편법!
http://linux.aldeby.org/vmware-workstation-6-5-3-on-ubuntu-karmic-9-10.html/comment-page-1
간신히 설치했다.
( Link 저장용 )
그냥은 설치 못한다.
그래서 편법!
http://linux.aldeby.org/vmware-workstation-6-5-3-on-ubuntu-karmic-9-10.html/comment-page-1
간신히 설치했다.
( Link 저장용 )
http://www.cyberciti.biz/faq/setting-up-an-network-interfaces-file/
/etc/network/interfaces라는 파일을 vi 에디터 등을 통해 연다.
그리고 해당하는 ethernet 카드 dev 명에 해당하는 부분에 적당하게 내용을 채운다.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1.5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254
만일 DHCP로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원래대로 변경하면 된다.
auto eth0
iface eth0 inet dhcp
그리고 난뒤, network 서비스를 재시작 하거나, ifdown eth0, ifup eth0 같은 네트워크 카드 일시적으로 내렸다 올리는 명령어를 통해 처리해도 된다.
NAS의 H/W 교체가 있어서, 전체적으로 교체를 시도했다.
(솔직히 NAS 사용에 베어본 PC라는 것도 이상했고, 더욱이 쿼드코어는 오버였다. )
예전 기종을 찾아내 교환을 했고, 전체적으로 큰 사이즈의 데스크탑인지라,
많은 수(?)의 HDD를 연결할 수 있는 메리트도 있었다.
그런데, 설치하고 얼마 되지 않아, DoS(Denial of Service )현상이 발생했다.
처음에는 그냥 리셋하는 정도로 해결했는데, 파일 서버의 역할로써,
복사 중에 다운되는 현상은 조금 참기 힘들었다.
결정적으로 출근 후, 파일 서버 접근을 시도하려는 순간 갑자기 이런 문제가 터지자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
퇴근 후, 이 문제를 차근 차근 되집어 본 결과, Console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게 되었다.
msk0: watchdog timeout ….
이 문제를 Google에 입력했고 ( http://www.google.com/search?rlz=1C1CHMB_koKR354KR354&sourceid=chrome&ie=UTF-8&q=msk0+watchdog+timeout ) 검색 결과 여러가지 항목들을 찾을 수 있었다.
그 중 FreeNAS 관련 포럼에 내 문제와 Just It 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였다.
(http://lists.freebsd.org/pipermail/freebsd-questions/2009-April/195790.html)
이 문제는 아마도 Gigabit의 Big size 패킷 처리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생각된다. 근래 나온 칩셋들은 문제가 없지만, 예전 Giga-bit 제품들이 이런 경향이 컸다. FreeNAS 6.4에서 이미 패치되서 해결 되었다고 하나, 이 문제는 7.1 에서도 예전 Giga-bit 네트워크 칩셋 일부에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Big-Size 패킷 처리를 커널 옵션 상에서 끄면 된다.
/boot/loader.conf 파일을 열고 아래의 내용을 추가한다.
hw.pci.enable_msi=0 hw.pci.enable_msix=0 uname -a:
( 위의 내용을 /boot/loader.conf 에 추가하려면, Web GUI를 열고 메뉴에 있는 Advanced –> File Editor 에서 처리하면 된다. )
편집한 뒤, 저장 하고, 리붓 해주면 된다.
현재 파일 송/수신 하면서 1시간 정도의 시간을 보낸 지금도 아무런 문제없이 동작하는 것을 보면, 위의 문제였으리라 짐작된다.
계속 상황을 지켜보면서 현재 NAS를 체크하도록 할 예정이다.
pkg_add -r subversion
/usr/local/bin/svnserve -d --listen-port 3690 --listen-host 192.168.1.1 -r /var/svn/repositories
/usr/local/bin/svnadmin create /var/svn/repositories/hir-test/
/var/svn/repositories/hir-test/conf/svnserve.conf
anon-access = readauth-access = writepassword-db = passwd
/var/svn/repositories/hir-test/conf/passwd
test = test
svn checkout svn://192.168.1.1:3690/hir-test/
cd hir-test
svn stat
state : ? test.txt
svn add test.txt
svn commit --message : "my firest test"
처음에 USB Flash Storage 즉,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복구용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예전 회사에서 사용했던 Windows PE 이미지가 있었기에, 간단했죠..
(BartPE는 다 좋은데, 너무 많은 옵션과 너무 많은 기능들로 인해서 왠지… 정감이 좀…)
PEtoUSB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아주 간단했습니다.
PE가 담긴 폴더만 있으면 간단하게 생성되고 간단하게 만들어지더군요.
그리고 그 도구를 사용해서 SD 메모리(카메라에 있던 구형 1G짜리)를 사용해 봤는데, 매끈하게 되었습니다.
오오 하는 마음에 이번에 옥션에서 낼름 8G짜리 메모리를 구입했고, 기쁜 마음에 들고왔죠.
그.러.나. 왠걸. PEtoUSB에서는 그 SD 메모리를 포멧하지 못하더군요. 메시지가 Format Fail(Error [11] …) 이라는 메시지만 덜렁 보이고, 끝!!!.이 막힌 문제를 다시 하나씩 들춰보니, 그 결론과 실상은 아래와 같더군요.
PEtoUSB에서 제공하는 부팅 방법은 FAT16 이였고, 그나마 최대 용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FAT16X(Extention Version)까지 지원하는 방식이였습니다..또 FAT16X는 일부 비정상적으로 만들어진 메모리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비표준 포멧이라는 것이였습니다.
그 문제 뿐만 아니라, 실제로 가장 치명적인 사실은 FAT16이 2G까지 지원하고, FAT16X로 해봐야 4G가 최대 지원용량이라는 군요(테스트에 사용한 USB가 4G였는데, 딱 떨어진것이였죠)
즉… 결국 제가 구매했던 8G SD 메모리로는 불가능! 도장이 딱 찍히더군요.
헉… 하는 느낌?!
그러나 포기할 수는 없었습니다. 수많은 구글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은 결과, BartPE나 Windows PE 2004/2005로 100번 도전해봐야 그 결과는 실패의 연속이라는 사실만 남더군요. 그래서 그냥 포기하려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4G짜리를 다시 사야 하나. 라는 고민에 빠졌다.
그러다, Windows PE 2.0을 보았고, 그 Windows PE 2.0에 걸었다.
처음에는 실패했지만, 간신히 그 방법을 찾아 내었다.
서론이 길었습니다. 이제 실제로 그 적용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나친 기우라고도 생각될 수 있지만, 이런 종류의 글을 쓰다가 보면, 가끔 황당하신 사용자 경험을 알려주는 경우를 많이 봐왔습니다. 제가 의도한 바가 아닌데, 이상하게 해석하거나, 모른다고 테스트 겸 작업을 하다가, 데이터나 윈도우를 날리는 경우 입니다.
가끔은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필자 탓을 많이들 합니다. 왜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안적었냐고…네, 전 그런 상황이 없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거나, 그런 방식으로 진행할 생각도 없었기 때문이라고 변명합니다.
그래서 꼭 이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절대 스스로 초보이며 아래의 내용을 전체 다 읽었을때 이해도가 50%도 안된다고 생각되시면, 일단 망설이세요. 또 이해 안되는 부분, 그냥 시도 하지 마시고, 꼭 다시 생각하고 시도하세요. 무턱대고 시도했더니 부팅이 안되는 바보 놋북을 만들기도 합니다. 데이터 백업 필수시구요, 언제든 옛날 Windows로 복구 하실 준비정도는 하시는 센스가 필요하십니다.
설치할 대상이 될 1101HA 본체.
8G 정도 되는 SD 메모리
Windows Automation Installation Kit(Windows AIK) 최신 버전.
ufdprep.exe ( 이거 구하기 무척 힘듭니다. 뭐 Vista 설치된 PC가 있으면 없어도 문제없습니다만..)
Ghost32.exe
일단 download.microsoft.com 에서 받은 Windows AIK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아 다운 받으실 때 사이트 전체가 영문으로 뜨면 반드시 한글판인지 확인하시고 받으세요. 영문판 그냥 받으시면, Windows PE 내 설정 없이 그냥 만들면 영문판 Windows PE 2.0 이 만들어집니다. 기능은 유사하지만, 역시 영어 알레르기 많으신 분 참 힘겨워 하시더군요.
정품 윈도우라면 아무 문제없이 설치될 것입니다. ( XP Home Edition은… 잘 모르겠습니다. )
설치에는 특별히 묻는 것이 없습니다. 혹여 묻더라도 기본으로 쭉 설치해 주세요.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Microsoft Windows AIK –> Windows PE 도구 명령 프롬프트” 를 실행해 주세요.
창에서 다음 문장을 치세요.
copype.cmd x86 C:\winpe_x86
그러면 도스창이 후루룩 넘어가고 무언가 설치가 될 것입니다. C:\winpe_x86에 아주 기본적인 windows PE 2.0 이미지가 박히는 것입니다.
커스터 마이징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일단 이정도까지만 해도 됩니다. ㅎㅎ
여기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현재 XP이고 ufdprep.exe 가 있는 경우입니다.
다른 하나는 현재 XP이며 ufdprep.exe가 없는 경우입니다.
Windows Vista가 필요 합니다. 만일 죽었다 깨도 Windows Vista를 구하실 수 없다고 한다면, Windows PE 2.0을 담을 CD-R을 만든 뒤, 적당한 컴퓨터 하나 잡으세요. ( 뭐 USB 지원하는 부팅 가능한 CD 플레이어가 있으셔도 됩니다.)
만일 Windows Vista 없으신 경우 먼저 CD-R에 Windows PE 2.0을 담아야 겠군요.
앞 단계에서 Windows PE 2.0이 모두 준비되셨다는 가정하에서 시작합니다.
맨먼저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Microsoft Windows AIK –> Windows PE 도구 명령 프롬프트” 실행하세요.
그리고 도스창이 뜨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만일 windows pe 폴더를 다른 위치로 잡으셨다면 그에 맞게 수정하세요. 전 C:\winpe_x86을 기준으로 계속 설명합니다)
oscdimg -n -bc:\winpe_x86\etfsboot.com c:\winpe_x86\ISO c:\winpe_x86\winpe_x86.iso
위의 명령어 대로 실행하시고 뭔가 다 돌아서 정상적으로 끝나면, c:\winpe_x86 위치에 winpe_x86.iso 라는 파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ISO를 이용하여 Windows CD 굽듯이 구워주세요. 이 녀석이 Windows PE 2.0 입니다. CD 굽는 것은 알아서 해주세요.
자… 그럼 windows pe 2.0 으로 부팅을 하시던, vista로 부팅을 하시던간에 Vista 계열로 일단 입장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부터 중요합니다. 실수하시면 HDD 깨끗하게 날려 먹습니다.(썩笑).
주의하시고 하나씩 확인하시면서 작업하세요.
당신은 참 대단한 능력을 가지신 분이십니다. 외국 어둠의 경로를 탐색을 잘 하시던가, torren과 같은 P2P의 활용의 귀재이시거나, 아니면 Windows Business Desktop Deploy 관련 업무를 하시고 계실지도 모르겠군요.
저도 우연찮게 이 도구가 담긴 Windows XP Embeded Studio를 간신히 구했는데, Ghost 복구하다 훌렁 날려 먹었습니다 –_-;;;;;;;;;;( 이거 가지고 계신분께 간청했으나, 전체 Studio 패키지가 다 합치니 2~3G는 되더군요. 귀찮기도 하고.. 그냥 Vista나 windows pe 2.0 에서 하고 있습니다. )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ufdprop.exe 파일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 이 파일은 C:\Program Files\Windows Embeded\Utilitites 라는 폴더에 있습니다 .
ufdprep.exe가 없는 경우와 같은 황당한 작업은 없습니다. 일단 저 실행 파일이 있는 위치에서 도스창을 열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넣으시면 됩니다.
ufdprep.exe /y /ntfs {USB 디스크 명}
예) ufdprep.exe /y /ntfs f:
별거 없습니다. 그냥 format 명령 넣듯이 넣으시면 됩니다. 단지 {USB 디스크명} 부분에 현재 USB가 연결된 드라이브 명 정도만 적으시면 됩니다. F 드라이브면 f:, E 드라이브 면 e: 라고만 넣어주시면 되죠.
그럼 끝입니다. USB 준비 만땅입니다. (笑)
!!!! Windows Vista나 Windows 7 가지신 분은 절대 Ghost32.exe 로 백업 하지 마세요.
운이 좋아 넘어가기도 하지만 대개 부트 레코드가 망가져서 부팅 자체가 안될 수 있습니다 !!!!!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USB 에 Windows PE 2.0 을 싣는 작업을 합니다.
말만 거창하고 실제로는 다음 명령어 처럼 무척 간단합니다. USB가 F: 드라이브 이고, C:\winpe_x86 위치에 windows PE 2.0 이 있다면….
xcopy C:\winpe_x86\iso\*.* /s /e /f F:\
네 저렇게만 해주시면 쭉 복사하고 끝입니다.
자 모든 준비 만땅. 이제 USB 꼽고 부팅해보는 겁니다.
일단 끄시고…
다시 켜실때 F2를 연타하시어 바이오스 안에 들어갑니다.(다른 놋북은 모르지만, 일단 1101HA는 F2 입니다.)
들어가서 좌/우키로 boot menu로 넘어가세요. 그리고 Hard Disk Drives를 선택하세요(Enter)
그리고 그 안에 있는 USB:XXXX 라고 적힌 부분에서 +/- 를 눌러 위치를 조정하세요. 맨 위로 올라가게 하셔야 합니다. 완료되셨으면 F10을 눌러 저장하고 나오시기 바랍니다.
자…부팅이 가만히 기둘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들이 지나가고 최종적으로 부팅이 완료되면 도스창이 가운데에 툭 튀어 나올 것입니다.
부팅이 성공적이시면 모든 준비 만땅.
자 이제 노트북의 파티션 상태에 따라 SD 메모리의 위치가 바뀝니다.
만일 노트북 안에 HDD의 파티션이 1개이면 SD 메모리는 D:로 잡히고, 파티션이 2개이면 E:로 잡힙니다.
다시 Windows XP로 부팅하세요. 도스창을 닫으시면 자동으로 Reboot으로 들어가고, 컴퓨터가 꺼집니다.
완전히 꺼졌다 다시 켜질 즈음 SD 메모리를 뽑으세요.
Windows PE가 완전히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냥 뽑으시면 Windows PE가 다운됩니다.
그러면 강제 종료 밖에는 답이 없으니 가급적 Windows PE가 완전히 꺼지고 난 뒤, SD 메모리를 뽑으세요.
이제, 원래 Windows 로 부팅하셨으면, SD 메모리 안에, 아까 구한 Ghost32.exe를 복사해서 넣어주세요.
그리고 난뒤 SD 메모리를 이용해서 다시 Windows PE로 복귀.
이제 D:\ 또는 E:\ 드라이브 즉, SD 메모리 안으로 들어가셔서 Ghost32.exe를 실행하세요.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그 Ghost32.exe를 이용하여 백업하시면 됩니다.
백업할 이미지의 저장장소를 D:\ 또는 E:\로 잡으셔서 SD 메모리에 저장하시면 됩니다.
Ghost32 사용 방법은 http://www.shinb.com/3378 을 참고하세요.
Windows에서 실행된다는 점만 빼면, 도스용과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생각보다 글이 길어졌네요. 적고 보니, 처음 이것을 해보는 사람에게는 알기 어렵거나 헷갈리거나, 위험한 요소들이 많더군요. 그걸 최대한 막아보려고 했지만, 역시 쉬운 일은 아니네요.
무척 다양한 문제점들이 튀어 나올 수도 있겠더군요.
일단 잘 모르시겠으면 무조건 달려들진 마세요. 혹여나 테스트 해보고 싶은 마음이면, 지금 노트북에 달린 하드 디스크의 내용은 그냥 날려도 무방하다고 생각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네요.
아 그리고 Windows PE 2.0을 이용하게 되면 최소한 이점은 좋습니다.
Windows Vista에서 인식하는 모든 H/W는 거의 다 인식합니다. USB HDD건, 네트워크건, 비디오건..
전부 인식합니다. 게다가 PE의 커스터마이징에 어느정도 익숙하시다면, 심지어 그 안에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서 인식하게 하는 Mini windows를 구성하실 수도 있습니다.
활용 방안은 무한대 이겠죠?
일단 이번 글은 여기 까지 입니다.
about:config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