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 전체 글

    • 카테고리1
    • 카테고리2
    • 카테고리3
    • 카테고리4
  • 태그
  • 방명록

'2021/03/04'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1.03.04 우분투 서버에 Docker로 Portainer 설치
  • 2021.03.04 우분투 Docker 설치

우분투 서버에 Docker로 Portainer 설치

카테고리 없음 2021. 3. 4. 19:49

Docker를 설치하긴 했는데, Docker를 핸들링하려면 매번 Command Line으로 마술부리듯 끊임없이 입력해야 한다. 물론 Command Line 입력 작업이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명령만 잘 구성한다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Windows 기반의 GUI 프로그램에 익숙해져버린 나 같은 경우 이 명령창 기반의 작업은 Docker를 전체적으로 관리할 때 매우 어려움이 컸다. 이전 상태 값에 대한 파악을 하려고 할 때마다 명령을 넣어 이리저리 컨텍스트를 매 순간 순간 마다 입력해서 확인해야 했기에 기억력이 떨어지면 이 내용을 자주 놓치고 반복하게 된다.  그래서 GUI 기반의 도구를 찾아보다가, Portainer 라는 제품을 확인했고, 이 Open Source 기반의 도구라면 Docker의 관리가 편해질 것 같아 설치를 진행해본다. 

다만, 이 글 역시 밑의 글 처럼 다른 블로그의 포스트 된 내용을 적용해보고 내 나름대로 정리했다.
원본 글은 아래의 URL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psychoria.tistory.com/684

 

[자작NAS] 우분투 서버에 Docker로 Portainer 설치

Portainer는 웹 기반의 도커 관리 툴입니다. 웹 기반이기 때문에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점이 강점입니다. 우분투 서버에 Portainer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ortainer는 도커 관리 툴인

psychoria.tistory.com

 

시작 전 확인 내용

사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 및 설정 값은 각기 다른 모습을 갖추고 있어 딱 이것이다 라는 글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내가 여기에 적은 글도 수많은 상황 중 하나일 뿐이다. 

운영체제는 Ubuntu 이며 ubuntu-20.04.1-live-server-amd64.iso 이미지로 설치했다.

클린 인스톨 상태에서 docker-ce를 설치했으며 현재 버전 아래와 같다.

Client: Docker Engine - Community
 Version:           20.10.5
 API version:       1.41
 Go version:        go1.13.15
 Git commit:        55c4c88
 Built:             Tue Mar  2 20:18:20 2021
 OS/Arch:           linux/amd64
 Context:           default
 Experimental:      true

Server: Docker Engine - Community
 Engine:
  Version:          20.10.5
  API version:      1.41 (minimum version 1.12)
  Go version:       go1.13.15
  Git commit:       363e9a8
  Built:            Tue Mar  2 20:16:15 2021
  OS/Arch:          linux/amd64
  Experimental:     false
 containerd:
  Version:          1.4.3
  GitCommit:        269548fa27e0089a8b8278fc4fc781d7f65a939b
 runc:
  Version:          1.0.0-rc92
  GitCommit:        ff819c7e9184c13b7c2607fe6c30ae19403a7aff
 docker-init:
  Version:          0.19.0
  GitCommit:        de40ad0

 그리고 Docker의 편의를 위해 Docker 그룹에 내 아이디도 포함시켰다. 

설치 전 단계

Potainer를 설치 구성하기 전에, 이 Potainer에서 사용되는 각종 설정값,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정의해 주는 것이 좋다. 안그러면 Potainer의 가상 HDD 내에 저장되게 되는데, 이 안의 내용을 접근하려면 생각보다 번거롭다. 그래서 데이터 부분만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var를 잘 이용하기 때문에, var 안에 디렉토리를 생성했다.

sudo mkdir -p /var/portainer/data

다음에는 바로 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운 받아 설치되어 실행되게 명령을 넣는다.

docker run -d -p 8888:9000 --name=portainer --restart=unless-stopped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var/portainer/data:/data portainer/portainer

명령 줄이 매우 긴데.. 그 중 몇가지만 짚어서 설정해주면 된다.

-p 8888:9000

이 옵션에서 앞의 숫자와 뒷 숫자를 ":" 로 구분한다. 여기서 앞의 숫자는 외부에서 접근할 때의 포트 번호고 뒷 숫자는 Docker Container, 여기서는 Potainer 가상 머신의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이 옵션이 없으면 Potainer의 9000번 포트를 접근할 수 없다. 바깥에서 보이는 포트를 Container 안의 포트와 연결해주는 작업으로 이해하면 된다.

-v /var/portainer/data:/data

거의 맨 뒤쪽의 옵션인데 -v 로 되어 있으며, 앞의 포트 처럼 ":"를 중심으로 두개의 경로가 있다. 이 중 앞의 경로가 Docker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의 경로이고, 뒤의 경로가 Container 내부에서 사용되는 경로이다. 즉 /var/potainer/data 라는 디렉토리를 Portainer Container에서 /data 처럼 쓰겠다라는 의미가 된다. 앞의 설치 단계에서 만든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자 명령이 완성되어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미지를 다운 받고, 자동으로 실행된다.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명령을 넣어보면, 결과를 볼 수 있다.

docker container ls

 

사이트 접속하기

Docker가 실행 중인 PC의 아이피 주소에 8888 포트를 넣어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사이트에 접속이 된다.

http 기반으로 접속이 되며, 맨 처음 접속하는 순간 관리자 계정을 최초로 생성하기 위한 화면이 뜬다. Username은 기본값으로 admin으로 되어 있다. 바꿔도되긴 하는데, 그대로 둬도 무방하다. 그리고 계정에 대한 암호를 만들라고 나오게 된다. 암호를 적절히 만들어 넣고, "Create user"를 한다.

다음에는 이 Portainer 사이트가 관리할 Docker의 사이트 정보를 넣도록 하는 부분이 있다. 원격에 있는 Docker를 설정할 수도 있고, Agent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심지 Azure와도 연계가 된다. 다만 여기서는 현재 설치된 Docker를 관리할 것이므로 Local을 선택한다. (이를 위해서 위의 docker run 할 때 옵션에  socker 부분에 대해 -v 옵션으로 설정해서 실행한 것이다.)

이제 Connect를 눌러보자

그러면 현재 Docker 서버의 Overview를 볼 수 있으며, 그 안에 들어가서 각종 Container나, Image 등을 확인해볼 수 있다.

 

정리하면...

물론 아예 Docker의 이해가 없이 쭉 따라하기 식으로 구축해도 무방하긴 한데, 이 Portainer를 사용하려면, 어느정도의 Docker의 이해가 필요하다. 일단 설치를 하더라도, 가급적이면 명령어 기반의 동작 방식을 어느 정도는 연습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 역시도 다양한 명령을 입력해보고, Docker를 이리저리 사용하면서 조금씩 기능을 깨닫는 부분이 있었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우분투 Docker 설치

카테고리 없음 2021. 3. 4. 19:15

우분투 Docker 설치라는 검색어로 뒤져보면, 많은 포스트들을 볼 수 있다. 다만, 검색 결과의 내용에서 자신의 설치환경과 맞는 내용을 찾기 어려울 수 있어 이 곳에 남긴다. 이 글의 원본은 다음 URL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hiseon.me/linux/ubuntu/install-docker/

 

우분투에서 docker 설치 방법 - HiSEON

우분투에서 docker 설치 방법 우분투 16.04 또는 우분투 18.04 버전에서 도커 docker-ce 버전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드립니다. 그리고 여러버전의 CUDA Toolkit을 사용할 수 있도록 nvidia-docker를 추가적으

hiseon.me

먼저 나는 Ubuntu 서버 버전인 ubuntu-20.04.1-live-server-amd64.iso 을 기반으로 설치했다.

준비

여기서는 기존에 설치된 Docker를 날리고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으로 기존 버전을 삭제한 뒤, Package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명령어들을 나열한다. 명령은 총 3가지 인데, 하나는 패키지 날리는 것, 다음은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고, 마지막으로 이 Docker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sudo apt-get remove docker docker-engine docker.io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그리고 난 뒤, 저장소 부분을 업데이트 해준다.
Docker 저장소 관련된 인증 키를 적용한 뒤, 저장소 리스트를 추가한다.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lsb_release -cs) stable"

 

도커 CE 설치

이제 실질적인 Docker를 설치한다. 이 때 설치하는 도커는 Command Line 환경을 위한 Docker인데, 맨 뒤에 ce 라고 붙는다. 이 패키지를 다음 명령을 넣어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마무리

사실 윗 단계에서 모든 과정은 끝이 난 것이긴 하지만, Docker의 기능을 사용하려면, root의 권한이 요구된다. 그렇다고 docker를 실행할 때마다 sudo를 넣기에는 귀찮기 때문에, 일반 계정에서도 docker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 있다. 다음과 같은 명령을 넣으면 된다.

 sudo usermod -aG docker $USER

그러면 현재 로그인된 계정에 대해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인 적용은 Logout 후 다시 Login을 해야 된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 «
  • 1
  • »
250x250

블로그 내에 소스 코드 삽입 이사온 기념 스킨도... RSS 전문 기능 비활성화 관련. 스킨 바꾸어 보았습니다. 서버 파일 정리 좀 했습니다.

«   2021/03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java twi2me Buscuit 오류 Tutorial windows 지름신 매뉴얼 블로그 Azure 좀 me2sms 2010 SharePoint moss Google Apps Engine me2dayzm WSS 비스킷 인터파크 친구 개발환경 MOSS 2007 me2photo 수 것 Visual Studio 불만 e-book 협업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