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 전체 글

    • 카테고리1
    • 카테고리2
    • 카테고리3
    • 카테고리4
  • 태그
  • 방명록

'2021/02/23'에 해당되는 글 3건

  • 2021.02.23 WSL 우분투와 Windows Local 파일 위치 관계
  • 2021.02.23 WSL 우분투 SSH( by Putty) 연결하기
  • 2021.02.23 WSL기반 Ubuntu 설치

WSL 우분투와 Windows Local 파일 위치 관계

카테고리 없음 2021. 2. 23. 09:53

WSL 기반의 우분투를 설치해서 파일 시스템을 보면 완전 리눅스다. 그 사실이 맞긴 하다. 그런데, 이 가상머신은 어디까지나 Windows 위에서 동작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분명 Windows 와 연결이 있다.

간혹, Windows에 있는 파일을 가져다가 쓰고 싶을때가 있는데, 이 때 좀 당황스럽긴 하다. 물론 외부 NAS나, 클라우드 파일 혹은 SAMBA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파일 공유로 가져오는 방법등 다양하게 있지만, 같은 PC에 있는 상태에서 파일을 가져가는게 중간자를 거쳐가는 작업이 매우 귀찮을 수 있다.

이 때 Windows에 있는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을 설명한다.

많이 어렵진 않다. 위치만 기억해주면 된다.

cd /mnt

그 안의 내용을 모면, 현재 Windows에서 사용 중인 모든 드라이브를 볼 수 있다. cd를 통해서 접근하면 된다.

다만, sudo를 이용해 관리자 권한이 없으면 Write가 되지 않으므로 가급적 편집을 하고 싶으면 직접 하지 말고, 로컬로 복사 한뒤 작업 후에 다시 덮어쓰는 방식을 추천한다. 그리고 Temp와 같은 폴더를 통해서 처리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WSL 우분투 SSH( by Putty) 연결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1. 2. 23. 09:44

WSL 기반의 우분투를 설치해서 사용해보면 알겠지만,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은 설치되어 있다. python도 되고, perl은 apt-get install을 통해서 받으면 된다. 그런데, 다른 PC에서 이 Linux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분명 Open SSH 서버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putty로 연결할 수 없었다.

혹시나 해서 아래의 명령을 넣어 확인해봤는데, openssh 서비스를 실행해 봤더니, 설치만 된 것이지 실제 실행은 안된 것이였다.

지금까지 리눅스 쓰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 확인을 안했던 이유가, 대부분 Ubuntu를 설치하거나 OpenSSH 서버를 설치 후 실행을 하면 자동으로 적용되었던 부분이 안되어있는 것 같았다.

지금부터 이 SSH를 활성화 해보도록 한다.

1. SSH용 host key 적용

서비스를 실행 하면 위의 이미지 처럼 나오는 단서는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이다 . 즉 hostkey가 없어서 실행을 못한다고 한다. 이 문제를 검색해 보자 다음 사이트를 볼 수 있었다.
www.garron.me/en/linux/sshd-no-hostkeys-available-exiting.html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Written by Guillermo Garron Date: 2020-05-11 19:05:00 00:00 Today while trying to start ssh server on my WSL Ubuntu installation, I got this error: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After searching on the web, I

www.garron.me

여기서 "ssh-keygen -A" 명령을 넣으라고 나왔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명령을 넣었다.

sudo ssh-keygen -A

그러면 새로운 host 키가 생성되었다고 표시된다. 이제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자

sudo service ssh restart

그러면, 이제 ssh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2. 암호 기반 로그인 처리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으니, 이제 PuTTY로 연결해보자. 연결할 때의 주소는 localhost 포트(연결 대상을 ssh로 하면 자동으로 22번이 됨)는 SSH로 하면 된다. 그러나 아이디를 넣는 순간 다음과 같이 뜨면서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SSH 서버 설정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SSH가 설치되면, 로그인 처리 없이, 인증서(SSH용 SSL 인증서)만으로 로그인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그렇다. 이 설정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어, 아이디를 넣는 순간 PuTTY에서는 위와 같은 오류를 내며 연결이 되지 않는다.

이를 설정하려면 다음 명령을 입력해서 설정 값이 담긴 텍스트를 열어야 한다.

sudo vi /etc/ssh/sshd_config

약 58번째 줄을 보면 PasswordAuthentication 이라는 항목이 보이는데, no로 되어 있는 것을 yes로 변경한다. 즉 암호 기반의 연결을 지원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다시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다.

sudo service ssh restart

 

그러면 PuTTY를 이용해 localhost:22 로 다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접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WSL기반 Ubuntu 설치

카테고리 없음 2021. 2. 23. 09:13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이게 어렵다면 어렵고 쉽다고 하면 쉽다.

특별한 설정없이 Microsoft Store에 있는 Ubuntu를 설치하면 대부분은 문제없이 된다.

만일 WSL2 로 설정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단계를 밟아 설정하면 된다.

1.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띄운다.
(Windows 아이콘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

2. 다음 명령을 넣는다.
(기능 중 WSL - Windows Subsystem Linux 를 활성화 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3. 다음 명령을 넣는다.
(기능 중 Virtual Manchine Platform을 활성화 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4. 재부팅을 한다.
(앞서 활성화한 기능들을 Windows에 적용한다.)

5. 다음 링크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서 실행한다.
(WSL2를 위한 업데이트 파일을 적용한다. 앞서 활성화한 WSL은 버전 1이기 때문이다)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6. 앞의 방법으로 PowerShell을 띄우고 다음 명령을 넣는다.
(이후 모든 WSL 기반 App들은 WSL2로 기본 값 설정)

wsl --set-default-version 2

7.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한다.

 

8. 모두 완료하고 실행하면, 간단하게 기본적으로 사용할 계정 정보를 입력 받는다.

9.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Menu에서 선택해 실행하면 Linux Shell을 볼 수 있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블로그 이미지

하인도1

[하인드/하인도/인도짱 의 홈페이지] 저만의 공간입니다. 다양한 소재들을 나열하는 아주 단순 무식한 홈페이지 입니다. 다양한 문서 자료도 있겠지만, 저의 푸념들도 있답니다.

  • «
  • 1
  • »
250x250

블로그 내에 소스 코드 삽입 이사온 기념 스킨도... RSS 전문 기능 비활성화 관련. 스킨 바꾸어 보았습니다. 서버 파일 정리 좀 했습니다.

«   2021/02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오류 매뉴얼 Tutorial 개발환경 것 moss 지름신 Visual Studio windows Buscuit 좀 SharePoint java 불만 Azure me2sms me2dayzm 친구 e-book WSS 수 블로그 MOSS 2007 Google Apps Engine 2010 비스킷 twi2me 협업 인터파크 me2photo

  • Total :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15-202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