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2에서 기본 로그인 계정 설정하기
Windows 10에는 WSL 이라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자세한 WSL 기술에 대한 설명은 다른 웹사이트들을 참고하면 잘 나와 있다.
www.google.com/search?q=WSL2
WSL2 - Google 검색
2020. 7. 21. · 2004 업데이트를 해야 wsl2를 쓸 수 있는데, 넉넉한 하드 공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설치된 앱들 덕분인지 윈도우 업데이트는 수동 프로그램을 ...
www.google.com
docs.microsoft.com/en-us/windows/wsl/compare-versions
Comparing WSL 2 and WSL 1
Compare version 1 and version 2 of the Windows Subsystem for Linux. Learn whats new in WSL 2.
docs.microsoft.com
간단하게 요약하면, Windows 10에 가상 머신을 만들어 Windows 안에 Linux를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다만 이 가상화가 보통 알고 있는 Virtual Box, VMWare Workstation과 같은 전체 가상화가 아니라, Container 라는 개념의 아주 Light한 가상화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여튼 Windows 10에서 Linux를 별다른 제약없이 쓸 수 있는 방법이다.
나는 이 Linux 중 Ubuntu 20 버전을 사용하는데, 이게 Microsoft Store에서 다운 받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문제는 설치를 하면, 내 개인 계정의 AppData 안에 이 가상화에 사용되는 기본 파일들을 저장한다는 점이다.
c:\Users\{개인 계정 Id}\AppData\Local\Microsoft\WindowsApps\CanonicalGroupLimited.Ubuntu20.04onWindows_79rhkp1fndgsc\
같은 위치에 각종 설정 파일, Linux 파일 폴더 등등이 담기게 된다. 만일 이 안에 개발 도구나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를 하면 저 위치에 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 그래서 wsl의 import와 export 기능을 이용해 위치를 변경했다.
거기까지는 잘 되었는데, 예전에는 분명 내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되는데, 갑자기 root로 로그인되는 것이다. root 계정은 편하긴 한데, 너무 넘치는 권한이라, 부담되어 예전처럼 내 개인 계정으로 나오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결과적으로는 아래의 URL에서 답을 찾았다.
How to sign into "root" account by default on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sh terminal
Windows 10's Anniversary Update just came out and I immediately installed the Windows Subsystem for Linux to see how it fares. I found only one major shortcoming so far: there was no obvious way to...
superuser.com
다만, 저 방법을 적용하려고 보니, ubuntu 라는 실행파일을 도저히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갸우뚱 거리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ubuntu2004.exe 로 변경되어 있었다. 경로를 찾을 때 아래와 같은 명령을 넣어서 간신히 찾았다.
dir/s/w ubuntu*.*
명령은 다음과 같이 넣으면 된다.
ubuntu2004 config --default-user {내 리눅스 계정}
막상 찾고보니, 댓글에 있긴 했다.
여튼, WSL2 기법을 이용한 Linux 이용방법이 기발하긴 하다.
서버 개발을 할 때 매우 유용하며, 특히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경우 이 WSL2를 이용하면 Hyper-V 설치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나중에 Windows 용 Docker 설치 관련 글을 정리해서 작성해볼 예정이다.